Professional Program Best

You can learn the latest trends in different fields, acquire a deepened specialized area as well as experience the expertise you need in your daily life.

  • Course

    618

  • Students

    28580

  • Video Contents

    15965

~
~

8 Course(s)

Professor

Suh, Eun Kook

Learning Period

02-15-2023 ~ 05-31-2024

Course Introduction

  ‘행복 압박’에서 벗어나라?   우리는 ‘행복’에 관심이 많다. 나의 선택으로 삶이 주어지진 않았으나 어차피 살아내야 할 삶이라면 기왕이면 행복하고 싶은 게 모두의 바람이다. 행복이란 무엇인가? 사전에서 말하는 ‘행복’의 정의는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어 흐뭇함. 또는 그러한 상태”라고 나온다. 어떤 사람들은 소망하던 바를 이뤘을 때, 무언가를 성취했을 때 행복하다고 말하기도 하고, 또 어떤 사람들은 맛있는 음식을 먹을 때, 사랑하는 이와 함께 있을 때 행복하다고 말하기도 한다. 만족과 기쁨의 크기가 크든 작든, 혹은 만족과 기쁨을 얻게 한 동인의 의미가 크든 작든 각자가 느끼는 행복은 지극히 주관적인 것이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도 사람들의 행복에 대한 생각은 크게 바뀌지 않았다. 그렇다고 행복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도 아닌데 행복에 대한 시선은 2천 년 전쯤에 그대로 머물러 있는 듯하다. 우리는 ‘행복이 삶의 목적’이라는 생각에 갇혀 ‘어떻게 하면 행복해지는가?’에만 몰두해 왔다. ‘how’에만 관심을 기울여 왔던 사람들에게 행복의 본질을 생각해 보자고, ‘인간은 왜 행복을 느끼는가?’, 즉 ’why’를 이야기하는 학자가 있다. 행복에 대한 과학적 연구로 저명한 행복 심리학자 서은국 교수는 행복에 대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통찰을 얻을 수 있도록 런어스 시그니처 강좌 ‘행복을 보는 색다른 시선’을 기획했다.   ? 런어스 시그니처 강좌 ‘행복을 보는 색다른 시선’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소개해 주세요. ? 런어스 시그니처 강좌 ‘행복을 보는 색다른 시선’ 시리즈는 어떤 과학적인 관점으로 인간의 행복을 접했을 때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던 생각과 유사한 결론이 나오는 부분들도 있지만 또 전혀 생각해 보지 못한 각도에서도 행복을 살펴봄으로써 행복의 본질에 대해 이해하고 통찰을 얻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했습니다. 지금까지 우리에게 익숙한 행복에 대한 이야기들이 인문학 스토리였다면 ‘행복을 보는 색다른 시선’ 시리즈에서는 행복에 대한 일종의 과학 다큐멘터리 같은 내용들을 쉽게 전해 드리고자 했습니다.   ? 강의에서 행복의 본질은 ‘좋다’는 느낌의 경험들이라고 하셨는데, 조금 더 자세하게 말씀해 주실 수 있나요? ? 우리에게 행복은 매우 친숙한 개념이지만 ‘행복이 무엇인가?’ 물으면 그것에 대해서 어떤 사람이 얘기하는 말이 다른 사람이 얘기하는 말보다 옳다고 할 수가 없어요. 왜냐하면 근원적으로 행복이라는 것이 실제로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래요. 뭔가 객관적으로 존재해야 누구의 생각이 사실에 더 근접하다는 판단을 할 수가 있는데 그렇지 못하죠. 때론 목소리 큰 사람이 이길 수도 있고요. 하지만 그렇다고 우리가 행복에 대한 어떤 공통적인 그림을 만들 수 없는 것은 아니에요. 일상의 이런저런 구석에서 행복의 핵심인 ‘좋다’는 경험을 느끼는 사람들도 어떤 거창한 잣대를 대면 ‘뭔가 나는 이룬 게 없으니, 나는 지금 행복하지 않은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만들어요. 그게 포인트입니다. 행복은 좋은 삶, 의미 있는 삶과 관련이 있지만, 근원적으로 다른 개념이에요.      "가급적이면 행복하게 사는 건 좋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행복한 게 무조건 제일 좋고, 또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쉽게 행복해질 수 있다는 상업적 메시지를 자주 접하게 되는데, 이런 단순한 생각들은 조심스럽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어요." 행복한 것은 좋으나 행복 스트레스까지 느끼며 살 필요는 없습니다. 런어스 시그니처 강좌에서는 이런 내용으로 강의를 준비했습니다.       [연세소식, LearnUs 이달의 강의] https://www.yonsei.ac.kr/ocx/news.jsp?mode=view&ar_seq=20220526160025930010&sr_volume=632&list_mode=list&sr_site=S&pager.offset=0&sr_cates=20220304105837931087   [런어스 유튜브, '행복' 하고 싶나요? 어디에서도 듣지 못했던 연세대 서은국 교수의 행복 강의?] https://www.youtube.com/watch?v=LnABkJ1kUgA   문의 : 연세대학교 LearnUs추진본부 LearnUs추진팀 (learnus_office@yonsei.ac.kr) / 02-2123-4201 ~ 4205

Students

-

Paid
Happiness, A New Take (2023)
Certificate

LearnUs Signature

Happiness, A New Take (2023)

Professor

Kwon Soo-Young

Learning Period

03-30-2022 ~ 02-29-2024

Course Introduction

[강좌 요약] 개인의 행복과 조직의 성과를 증진시키는 전문 코칭 서비스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어느 리더들이나 활용할 수 있는 코칭대화의 기본기술을 습득한다.   [강좌 목적 및 필요성] 코칭 서비스는 전문코치(professional coach)의 전문영역으로 국내 여러 대기업이나 조직의 리더들에게 널리 제공되고 있다. 한편, 전문적인 코칭 서비스는 가정의 부모들이나 어느 단체의 중간관리자들에게도 일상적인 대화에 적용할 수 있는 코칭대화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화를 통한 ‘코칭적인 접근(coaching approach)’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   본 강좌는 리더에게 코칭 대화의 기본기술을 소개하여 본인은 물론 소통하려는 상대방과 조직의 구성원들의 행복과 성과를 이끌어내는 힘을 증진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강좌 내용] 1강: 왜 리더에게 코칭이 필요할까? 2강: 일반대화와 코칭대화 어떻게 다를까? 3강: 코칭 대화의 기술: 경청, 질문, 칭찬과 인정   [교수자 소개] 권수영 교수   ◎ 소속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상담코칭학과 교수   ◎ 프로필 (현) 연세대학교 가습기살균제보건센터(정신건강 모니터링 기관) 센터장 (현) 연세대학교 인공감성지능 융합연구센터 센터장 (현) 사단법인 글로벌 디아스포라 다문화코칭네트워크 이사장 (현) 고용노동부 상담 인력자원개발위원회(ISC) 운영위원   ◎ 저서 『프로이트와 종교』, 『누구를 위한 종교인가』, 『한국인의 관계 심리학』, 『나쁜 감정은 나쁘지 않다』, 『나도 나를 모르겠다』, 『아이 마음이 이런 줄 알았더라면』, 『치유하는 인간』, 『관계에도 거리두기가 필요합니다』 외 다수   ◎ 방송경력 KBS 『아침마당』 목요특강, TBS 『창의특강』, SBS CNBC 『인문학아고라』, O tvN 『어쩌다 어른』, CBS 『세바시: 15분』, EBS 『배워서 남줄랩』, EBS 『마스터』 등 다수 방송 출연   문의 : 연세대학교 LearnUs추진본부 LearnUs추진팀 (learnus_office@yonsei.ac.kr)

Students

133

Professional course

Coaching Conversation: A Guide to Performance and Happ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