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essional Program Best

You can learn the latest trends in different fields, acquire a deepened specialized area as well as experience the expertise you need in your daily life.

  • Course

    618

  • Students

    28618

  • Video Contents

    15965

~
~

197 Course(s)

Professor

LEE Seung-Chong

Learning Period

03-13-2023 ~ 02-29-2024

Course Introduction

우리는 어떻게 철학의 길에 접어들 수 있는가?   우리 시대에 철학은 어떠한 길들로 갈라지는가? 그 각각의 길에서 우리는 무엇을 보고 배우며 어떠한 피드백을 줄 수 있는가? 그 길들은 우리를 어디로 이끄는가? 본 강좌에서는 이러한 물음에 대한 답을 찾고자 철학의 길로 나선 우리 시대의 한 철학자가 젊은 후학과의 대화를 통해 자신이 배우고 응답한 철학의 지식과 지혜를 나누고, 후학은 그 철학자에게 자신의 질문을 던지고 선배 철학자를 넘어서 자신의 길을 찾아 나갑니다.     공자의 논어나 플라톤의 대화록이 예증하듯이 동서를 막론하고 철학은 대화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강좌는 시중에 차고 넘치는 일방적 해설 강좌를 지양하고, 한 철학자가 어떻게 철학과 만나서 거기서 무엇을 배우고 그것에 어떻게 응답했는지를 젊은 후학에게 생생히 들려주는 대화의 형태로 진행됩니다. 후학이 그 나름의 고민과 질문을 철학자에게 던지고 토론하며 자신의 길을 찾게 되는 과정은 인문학이 일방이 아닌 쌍방의 2인칭적 대화임을 예증합니다.     문의 : 연세대학교 LearnUs추진본부 LearnUs추진팀 (learnus_office@yonsei.ac.kr) / 02-2123-4201 ~ 4205

Students

242

Professional course

The Way of Philosophy

Professor

Choi, Kang-Shik

Learning Period

02-09-2023 ~ 02-29-2024

Course Introduction

4차 산업혁명 속에서 나의 일자리 찾기!   4차 산업혁명, 그리고 미래의 일자리 우리의 일자리는 미래에도 존재할까요? 로봇과 AI가 우리의 일자리를 대체하게 될까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사회는 급변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으로 비대면 업무가 늘어나면서, 실생활에서 사람이 아닌 로봇과 AI를 마주할 일이 늘어났습니다. 공항이나 은행은 물론, 식당에서도 로봇 종업원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죠. 더불어 '미래에 로봇이나 AI가 대체할 직업'에 대한 이야기 또한 자주 들려옵니다. 우리의 일자리는 미래에도 로봇이나 AI가 아닌 사람의 몫으로 남아있을까요? 미래에는 어떤 직업이 생겨나고 어떤 직업이 사라질까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공포감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4차 산업혁명은 거대한 불연속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로 인해 우리가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더더욱 어려워졌습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불안감을 느끼기도 하는데요, 이러한 불안감은 1차 산업혁명 당시에도 팽배했다고 합니다. 산업의 기조와 사회의 구조가 빠르게 바뀌며 알 수 없는 미래에 대한 공포가 생겨나는 것입니다. 이러한 두려움은 과학 기술 발전에 대한 두려움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과학은 인간의 호기심을 충족시켜줍니다. 동시에 인간의 한계를 확장시키며 효율성을 증대해 줍니다. 그러나 이러한 효율성이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며 사람들은 과학이 인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없다는 사실을 망각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간은 두려움과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과학의 한계는 인간이 만든다는 것을 잊지 않는다면 이러한 공포감 또한 극복할 수 있습니다. 사회가 변화하며 사라지는 일자리가 있지만, 동시에 새로 생겨나는 일자리도 있으니까요!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다가오는 미래, 런어스(LearnUs)와 함께 알아보세요!         본 강좌는 풀강좌 "과학기술 시대와 팬데믹, 그리고 우리 시대의 시민교양"의 주제별 강좌입니다.풀강좌 "과학기술 시대와 팬데믹, 그리고 우리 시대의 시민교양"의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주제별 강좌는 수료증이 발급되지 않습니다. 수료증 발급을 희망하시는 경우 풀강좌를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풀강좌: https://www.learnus.org/local/ubonline/view.php?id=235235&group=1   문의 : 연세대학교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02-2123-4201~4205) 연세대학교 LearnUs 추진팀 (learnus_office@yonsei.ac.kr)

Students

48

Professional course

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의 미래

Professor

Yu Gwang-Su

Learning Period

02-09-2023 ~ 02-29-2024

Course Introduction

「홍길동전」이 품은 비밀은?   최초의 한글 소설 「홍길동전」 홍길동은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아는 이름입니다. 주민센터의 성명 기입란이나 웹 사이트의 회원가입 성명 예시에서 홍길동의 이름을 볼 수 있죠. 그만큼 홍길동은 우리에게 익숙한 존재입니다. 허균이 지은 「홍길동전」은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소설입니다. 「홍길동전」이 최초의 한글 소설로 인정받는 이유는 작가가 실존했으며, 작가의 생애 연대가 명확한 첫 한글 소설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최초의 한글 소설 「홍길동전」을 둘러싼 여러 가지 의문들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홍길동전」은 정말 허균의 작품인가, 두 번째는 허균이 정말 「홍길동전」을 한글로 썼는가에 대한 점입니다. 우리는 모두 정규 교육 과정에서 최초의 한글 소설은 「홍길동전」이며 작가는 허균이라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배운 것들이 정말 사실일까요? 「홍길동전」을 둘러싼 의문의 답은 무엇일까요?     「홍길동전」은 정말 허균의 작품이며 허균은 정말 「홍길동전」을 한글로 썼을까요? 우리는 「홍길동전」이 한글로 지어졌다는 것을 어떻게 알게 되었을까요? 그것은 김태준이라는 연구자의 설명 때문입니다. 경성제국대학을 나온 김태준이라는 연구자는 조선소설사라는 책을 썼는데요, 이 저서에서 그는 「홍길동전」이 허균이 지은 책이라고 서술했습니다. 그 근거는 조선시대의 택당 이식이라는 문신의 글입니다. 택당 이식 선생은 「홍길동전」이 한글로 지어졌으며 저자는 허균이라는 글을 남겼고, 이를 근거로 김태준 선생은 「홍길동전」은 허균이 지었으며 한글로 쓰였음을 밝혔습니다. 그러나 현재 남아있는 한글 「홍길동전」은 전부 19세기에 베껴진 책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의문점이 제시되었습니다. 과연 「홍길동전」의 진실은 무엇일까요? 우리에게 「홍길동전」은 특별한 이유가 없어도 좋아하고, 읽고, 즐거워했던 고전소설입니다. 고전소설 안에 담긴 의미도 좋지만 「홍길동전」을 즐겁게 읽는 것도 중요하겠죠 「홍길동전」에 담긴 사회와 「홍길동전」의 진실들, 그리고 소설의 본질인 즐거움까지! 런어스LearnUs와 함께 알아볼까요?     본 강좌는 풀강좌 "과학기술 시대와 팬데믹, 그리고 우리 시대의 시민교양"의 주제별 강좌입니다.풀강좌 "과학기술 시대와 팬데믹, 그리고 우리 시대의 시민교양"의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주제별 강좌는 수료증이 발급되지 않습니다. 수료증 발급을 희망하시는 경우 풀강좌를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풀강좌: https://www.learnus.org/local/ubonline/view.php?id=235235&group=1   문의 : 연세대학교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02-2123-4201~4205) 연세대학교 LearnUs 추진팀 (learnus_office@yonsei.ac.kr)

Students

30

Professional course

「홍길동전」을 둘러싼 불편한 시선들

Professor

KIm Eungbin

Learning Period

02-09-2023 ~ 02-29-2024

Course Introduction

우리는 어떻게 '공생'해야 할까?   '공생'이란 무엇일까요? 말 그대로 같이 산다는 의미인데요, 그 범위 안에서 협동, 기생, 포식, 경쟁을 하며 사는 것이 공생입니다. 공생이라 하면 돕는 의미만을 생각하기 쉽지만, 공생과 경쟁은 반대되는 개념이 아니라 포함하는 관계이죠. 그렇다면 감염병 시대에 공생하는 삶이란 어떤 것일까요? 또 '나'와 '타인'과의 공생 관계를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본 강좌에서는 생물학적인 관점에서 '면역'의 작동에 의해 미생물과 공생하는 우리의 몸과 관련된 이야기를 들어볼 수도 있고, 철학적인 관점에서의 인간관계에 빗댄 '면역'도 소개해 드립니다.     본 강좌는 풀강좌 "과학기술 시대와 팬데믹, 그리고 우리 시대의 시민교양"의 주제별 강좌입니다.풀강좌 "과학기술 시대와 팬데믹, 그리고 우리 시대의 시민교양"의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주제별 강좌는 수료증이 발급되지 않습니다. 수료증 발급을 희망하시는 경우 풀강좌를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풀강좌: https://www.learnus.org/local/ubonline/view.php?id=235235&group=1   문의 : 연세대학교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02-2123-4201~4205) 연세대학교 LearnUs 추진팀 (learnus_office@yonsei.ac.kr)

Students

16

Professional course

공생, 감염병 시대의 슬기

Professor

Soojeong Kim

Learning Period

02-09-2023 ~ 02-29-2024

Course Introduction

수학으로 읽는 바이러스의 구조   수학적 구조를 품은 바이러스 최초의 바이러스는 1892년 러시아의 미생물학자 드미트리 이바노프스키에 의해 발견된 담배모자이크 바이러스입니다. 그로부터 6년 후, 1898년 네덜란드의 미생물학자 마르티누스 베이에링크가 라틴어로 독을 의미하는 비루스를 따서 바이러스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세간을 떠들썩하게 한 전염병 중 대부분이 바이러스에 의한 것인데요, 2002년 사스(SARS), 2009년 신종플루(Swine flu), 2014년 에볼라(Ebola), 2015년 메르스(Mers), 그리고 2019년의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입니다. 이러한 바이러스와 싸워서 이기려면 치료제와 백신을 개발하는 것이 최고의 방법인데요,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바이러스의 구조를 이해해야 합니다.     바이러스는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DNA나 RNA인 핵산, 그리고 핵산을 둘러싼 단백질 덩어리인 캡시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현재까지 밝혀진 바이러스의 종류는 크게 나선형, 정이십면체형, 복합형, 외막형의 네 가지로 구분됩니다. 직선의 핵산을 캡시드가 나선으로 감싸고 있는 나선형, 둥글게 뭉쳐진 핵산을 구형 캡시드가 감싼 정이십면체형, 머리는 정이십면체형이고 몸통은 나선형인 복합형, 그리고 나선형, 정이십면체형, 복합형을 외막이 감싸고 있는 외막형입니다. 바이러스에는 정이십면체의 모양이 있는데요, 정이십면체는 정다면체에 속하는 도형입니다. 정다면체란 모든 면이 똑같은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꼭짓점에서 만나는 면의 개수가 같은 볼록한 입체도형입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정다면체는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그리고 정이십면체인데요. 구형 캡시드를 정이십면체라고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정이십면체의 구형 캡시드를 비롯해서, 바이러스에는 펜로즈타일링, 대수학의 군론, 대칭과 같은 다양한 수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바이러스를 읽어내는 수학, 흥미롭지 않으신가요?   오랜 시간 우리를 괴롭혀 온 바이러스와 바이러스의 수학적 구조! 런어스(LearnUs)에서 알아보세요!         본 강좌는 풀강좌 "과학기술 시대와 팬데믹, 그리고 우리 시대의 시민교양"의 주제별 강좌입니다.풀강좌 "과학기술 시대와 팬데믹, 그리고 우리 시대의 시민교양"의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주제별 강좌는 수료증이 발급되지 않습니다. 수료증 발급을 희망하시는 경우 풀강좌를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풀강좌: https://www.learnus.org/local/ubonline/view.php?id=235235&group=1   문의 : 연세대학교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02-2123-4201~4205) 연세대학교 LearnUs 추진팀 (learnus_office@yonsei.ac.kr)  

Students

100

Professional course

바이러스의 구조를 밝히는 수학
Lo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