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essional Program Best

You can learn the latest trends in different fields, acquire a deepened specialized area as well as experience the expertise you need in your daily life.

  • Course

    618

  • Students

    28580

  • Video Contents

    15965

~
~

274 Course(s)

Professor

Kim Dong Gyu, KIm Eungbin

Learning Period

01-02-2022 ~ 02-29-2024

Course Introduction

21세기는 ‘바이오시대’라며 여기저기서 생물학과의 융합을 외치고 있습니다. 그런데 도대체 왜 바이오시대일까요? 다윈 진화론과 멘델 유전법칙이 19세기 중반에 세상에 알려지고 나서 100년이 채 지나지 않은 때인 1953년, 두 명의 젊은 과학자가 유전물질의 물질적 실체인 DNA의 구조를 밝혀냈습니다. 그리고 반세기 만에 인류는 자신을 비롯한 다양한 생명체의 유전체 정보를 완전히 해독하고 준(準)인공생명체를 탄생시키는 경지에 이르렀죠. 생물학의 비약적인 발전이 자연은 물론이거니와 과학의 주체인 인간을 변형시킨다는 점에서, 생물학은 미래 과학의 주도권을 선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바이오시대'이고, 또 그래서 생물학은 철학과 만나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수업은 이 두 학문이 만나서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따라서 수업 도중에 지루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을 만나면, 일단 넘어가세요. 대부분 뒤에 가면 자연스레 해결될 테니까요. 그래도 여전히 부족하다면 온라인을 통해 담당 교수와 소통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 말을 꼭 기억해 주세요. “우리 수업에서는 이상(異想)하는 사람이 이상(異常)한 게 아니라 이상(理想)적입니다!”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시스템생물학과 김응빈 교수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김동규 교수 문의: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ictl@yonsei.ac.kr)

Students

80

K-MOOC

활과 리라: 생물학과 철학의 접점 찾기

Professor

최인혁

Learning Period

02-10-2023 ~ 05-31-2024

Course Introduction

혁신 기업은 이게 다르다!   기업의 혁신, 삶의 혁신 혁신이란 무엇일까요? 국립국어원은 혁신을 "묵은 풍속, 관습, 조직, 방법 따위를 완전히 바꾸어서 새롭게 함."으로 정의했습니다. 기업의 성공적인 혁신을 위해서는 세 가지가 필요하다고 보스턴 컨설팅 그룹은 밝혔습니다. 바로 혁신을 우선 과제로 삼는 것. 혁신에 투자를 늘리고 인재를 할애하는 것. 그리고, 투자를 실적으로 전환할 준비를 하는 것입니다. 최근의 혁신 기업들은 무엇을 준비하고 있을까요? 세계적인 반향을 끌고 온 코로나 19로 인한 팬데믹으로 뉴노멀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코로나 19 팬데믹이 가져온 키워드는 비대면, 그리고 온라인입니다.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인 현재, 혁신 기업은 4차 산업에 맞춰 AI, VR, 드론 등 다양한 신기술을 접목시키거나, 이러한 신기술을 이용한 제품과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죠. 그리고 요즘 중요한 화두로 떠오른 환경문제에 따라 ESG는 가장 트렌디하며, 가장 윤리적인 혁신 키워드가 되었습니다. 혁신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이 키워드들을 잊지 말아야겠죠.     이러한 키워드에 맞춰 기업이 혁신을 가져오기 위해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요? 바로 리더십과 협업에 대해 재고하는 것입니다. 주요 혁신기업들은 최고 경영진의 명확한 리더십으로 결과를 도출한다고 합니다. 또한 개발과 관련 부서 간의 강력한 연계, 즉 협업의 선순환이 없으면 혁신 준비 상태에 이르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기업의 혁신과 우리의 삶은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우리는 모두 기업이 만든 제품에 둘러싸여 생활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차, 가구와 가전까지 무엇 하나 기업의 제품이 아닌 것이 없죠. 당장 우리 손에 들려있는 스마트폰은 혁신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보스턴 컨설팅 그룹이 밝힌 '2022년 세계 50대 혁신 기업' 랭킹의 1위를 당당히 차지한 애플은 혁신 기업의 대표주자라 할 수 있습니다. 사실상 전 인류가 일반 휴대전화를 떠나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된 계기인 아이폰이 처음 출시되었을 때, 사람들은 스티브 잡스의 프레젠테이션과 애플의 새로운 기술에 열광했죠. 또한 아이폰을 필두로 한 스마트폰의 보급은 정보화시대를 더욱 가속화했습니다.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컴퓨터를 켰어야만 했던 과거와는 달리, 지금은 걸어 다니며 인터넷을 사용하고 GPS 기능을 이용해 나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를 사용할 수도 있죠. 기업이 혁신을 거듭할수록 우리는 새로운 삶을 맞이하게 됩니다. 앞선 예시의 스마트폰과 자율주행차, 의약품, 의류제품까지 우리를 둘러싼 기업의 혁신! 그리고 혁신 기업이 되기 위한 방법까지, 런어스(LearnUs)에서 알아보세요!      본 강좌는 <준비된 인재에게 기회가 열린다: 창의융복합 인재 양성 과정> 풀강좌의 주제별 강좌입니다.<준비된 인재에게 기회가 열린다: 창의융복합 인재 양성 과정> 풀강좌의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주제별 강좌는 수료증이 발급되지 않습니다. 수료증 발급을 희망하시는 경우 풀강좌를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풀강좌: https://www.learnus.org/local/ubonline/view.php?id=235236&group=1   문의 : 연세대학교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02-2123-4201~4205)           연세대학교 LearnUs 추진팀 (learnus_office@yonsei.ac.kr)

Students

-

Paid
혁신 기업들은 무엇이 다른가 (2023)

Professional course

혁신 기업들은 무엇이 다른가 (2023)

Professor

Song Min

Learning Period

01-02-2022 ~ 02-29-2024

Course Introduction

최근 빅데이터 시대를 맞이하여 웹 2.0과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들의 급격한 성장이 이루어졌습니다. 이로 인해 이메일, 신문, 블로그 등과 같은 비정형 데이터가 방대하게 생산되고 있습니다. 텍스트 마이닝은 비정형 빅데이터 분석에 핵심적인 분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요즘과 같은 데이터 홍수 시대에는 더욱 그 중요성이 커졌고 텍스트 마이닝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서의 최근의 진보는 경영학, 공공정책, 의료 정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텍스트 마이닝을 적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본 강의는 다양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의 이론 및 접근방법을 설명합니다. 텍스트 마이닝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직접 다루어보는 것을 목표로 삼습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한글 및 영어 텍스트 요소를 단위별로 분석할 수 있고, 감성 분석, 토픽 모델링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학습자가 관심 있어 하는 프로젝트나 과제 등 실생활에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학습자들은 공학 지식과 더불어 텍스트 분석 및 활용 능력을 얻게 될 것입니다. 연세대학교 문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송민 교수  관련 문의: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ictl@yonsei.ac.kr)  

Students

560

K-MOOC

텍스트 마이닝 실전 및 분석

Professor

Park Donha

Learning Period

02-09-2023 ~ 02-29-2024

Course Introduction

역병과 함께한 인류의 역사    역대급 전파력을 보여주고 있는 전염병 코로나19(COVID-19)는 우리 일상을 전부 뒤엎었습니다. 2019년 말에 시작되어 지금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많은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인구 수의 절반이나 걸렸을 정도로 전파력이 강한 바이러스이죠.     사스와 메르스 역시 코로나바이러스가 원인인 감염병이었다는 점을 알고 계셨나요? 사스(SARS)는 대기를 통해 전염되는데 38도 이상의 고열과 근육통 등 증상이 심각하고, 감염자 8,096명에 사망자 774명으로 그 치사율이 9%를 넘는 수준이었어요. 다행히 한국에서는 3명밖에 감염되지 않았고, 이들 모두 완치되었어요. 그에 반해 메르스(MERS)는 비말로 감염되며 한국에서는 2015년 5월 첫 감염 사례를 시작으로 확산되어 누적 감염자 186명에 사망자 39명으로 치사율이 21%에 달했고, 1위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중동 국가들 사이에서 전 세계 감염자 2위 국가를 기록할 정도로 심각했어요. ​사스는 박쥐 → 사향고양이 → 인간에게로 전파되었다고 보고 있고, 메르스는 박쥐 → 낙타 → 인간에게 전파되었다고 보고 있기 때문에 두 감염병 모두 동물을 매개로 시작되어 빠르게 전파 되었다가 어느새 사라지는 특징을 지녔기에 당시 치료제나 백신이 출시되지 않았어요. 하지만 변이를 거듭하며 3년째 지속되는 코로나19는 더 이상 스쳐지나가는 유행병으로 볼 수 없게 되었죠. ​이렇듯 우리 시대의 감염병의 역사는 반복되고 있습니다, 과연 우리는 감염병 시대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   본 강좌는 풀강좌 "과학기술 시대와 팬데믹, 그리고 우리 시대의 시민교양"의 주제별 강좌입니다.풀강좌 "과학기술 시대와 팬데믹, 그리고 우리 시대의 시민교양"의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주제별 강좌는 수료증이 발급되지 않습니다. 수료증 발급을 희망하시는 경우 풀강좌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풀강좌: https://www.learnus.org/local/ubonline/view.php?id=235235&group=1   문의 : 연세대학교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02-2123-4201~4205) 연세대학교 LearnUs 추진팀 (learnus_office@yonsei.ac.kr)

Students

19

Professional course

전염병, 그 저항의 역사

Professor

Yang Hyunjung

Learning Period

02-09-2023 ~ 02-29-2024

Course Introduction

자연재해와 인간의 마음   재난 속에서 마음 돌보기 트라우마, 혹은 PTSD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외상이라는 말로도 표현하는데요, 외상이란 외부로부터 주어진 충격적인 사건에 의해서 입은 심리적 상처를 뜻합니다. 대지진 같은 자연재해나 전쟁 등과 같이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사건은 모두 충격적인 사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충격적인 사건에 노출된 경우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충격적 사건을 직접 경험한 경우, 두 번째는 충격적 사건을 목격한 경우, 마지막으로는 충격적 사건이 가족이나 친구에게 일어난 것을 알게 된 경우입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외상에 노출이 되고 나서 발병될 수 있는 정신 질환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이 질환은 사건의 종류에 따라 발병 비율이 차이가 나는데요, 태풍이나 대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는 5%, 우리나라의 삼풍백화점이나 성수대교 붕괴와 같은 사고, 기술적 재난은 7~10%, 그리고 성폭행과 총기난사는 35~50%입니다. 성폭행과 총기난사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발병 비율이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위의 두 종류의 사건은 심리적 후유증이 가장 높은 유형인데요, 사람으로 인한 고의성이 있을 때, 복합적 외상일 때, 그리고 그것이 장기적으로 지속될 때 심리적 후유증이 높다고 합니다.     외상은 심리학자 존 알렌의 '대인관계 관여도에 따른 분류'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인간 외적인 외상, 대인관계적 외상, 그리고 애착 외상입니다. 인간 외적인 외상은 인간이 개입되지 않은 자연재해를 뜻합니다. 지진, 태풍, 산사태, 홍수, 화산 폭발 등이 있습니다. 대인관계적 외상은 타인의 고의적 행동에 의해 입은 상처와 피해를 뜻합니다. 전쟁, 테러, 살인, 폭력, 강간, 고문 등의 종류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애착 외상은 정서적으로 매우 긴밀하고 의존도가 높은 관계에서 입은 심리적 상처입니다. 학대, 방임, 가정폭력과 데이트 폭력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외상을 입었을 때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전문가와의 상담 등을 통해 반드시 우리의 마음을 돌보아야 합니다. 살면서 마주할 수 있는 재난들, 그리고 그로 인한 마음의 병! 런어스(LearnUs)와 함께 알아보세요!     본 강좌는 풀강좌 "과학기술 시대와 팬데믹, 그리고 우리 시대의 시민교양"의 주제별 강좌입니다.풀강좌 "과학기술 시대와 팬데믹, 그리고 우리 시대의 시민교양"의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주제별 강좌는 수료증이 발급되지 않습니다. 수료증 발급을 희망하시는 경우 풀강좌를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풀강좌: https://www.learnus.org/local/ubonline/view.php?id=235235&group=1   문의 : 연세대학교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02-2123-4201~4205) 연세대학교 LearnUs 추진팀 (learnus_office@yonsei.ac.kr)

Students

19

Professional course

재난과 인간의 마음

Professor

Justin Y. Jeon

Learning Period

01-02-2022 ~ 02-29-2024

Course Introduction

사회가 과학 기술과 더불어 발전함에 따라 환경이 변화하였으며 여러 가지 사회적 변화를 불러왔습니다. 변화의 결과 중 하나로 우리는 비만, 당뇨,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그리고 암이라는 만성질환 발병의 증가가 큰 문제로 떠올랐습니다. 이러한 질병은 병원에서 진단 받으며 그 결과에 따라 처방을 받습니다. 하지만,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방법으로 수술을 받고 약을 처방 받는 수밖에 없을까요? 최근 운동은 여러 대사성 질환 뿐만 아니라 암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습니다. 대장암과 유방암을 포함한 대부분의 암에서 15~30%까지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암의 재발도 50%가량 낮춘다는 결과도 보고 되었습니다. 또한, 잘못된 생활 자세와 비 신체활동으로 인한 신체의 근골격적인 문제의 발생도 운동을 통해 예방하며 치료할 수 있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 강좌의 학습 목표는 다양한 질환의 원인과 특성 및 증상을 이해하고 이에 적절한 운동처방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9주차에 걸친 이론 강의를 통해서 각 대사성 질환의 생리학적, 환경적 원인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질환의 특성과 증상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대 사회에 휴대폰 사용과 좌식 생활 시간의 증가에 따라 발병률이 증가한 상체, 하체 교차 증후군에 대해서 근해부학적으로 원인을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한편, 운동처방의 기본원리와 효과, 활용법 등을 이론적으로 심도 있게 알아볼 수 있으며, 4주차에 걸친 실기 강의를 통해 정확한 운동 자세를 배우고 실습하여 봄으로써 실제적으로 운동의 효과를 느껴볼 수 있습니다.이 수업의 목표는 질병에 대한 운동처방의 측면에서 그 질병의 특성에 맞게 적절하고 안전하며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을 만들어 내는 것 또는 실제로 적용해 보는 것입니다.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스포츠응용산업학과 전용관 교수 관련 문의: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ictl@yonsei.ac.kr)

Students

62

K-MOOC

운동은 약이다: 이론과 실제

Professor

SOHN, YOUNG-JONG

Learning Period

01-02-2022 ~ 02-29-2024

Course Introduction

현대 천문학이 주는 지식은 우리가 왜 별과 우주를 본능적으로 좋아하고 알고 싶어 하는 가에 대한 질문의 해답을 던져 주고 있습니다. 그것은 우주가 바로 우리의 근원적 고향이라는 사실 때문입니다. 우주는 우리가 태어나고 살아가고 있는 곳이며, 우리가 가야할 곳 입니다. 우리의 몸을 이루는 모든 물질들은 장구한 우주의 역사를 이루어 온 별들의 생성과 사멸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들이며, 언젠가 우리는 광활한 우주의 어느 곳으로 가게 되어 새로운 별을 만들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어디로부터 왔으며, 지금 이 순간 우리의 존재의 의미는 무엇이며, 앞으로 우리는 어디로 갈 것인가에 대한 궁극적인 질문에 대하여, 우주는 우리에게 그 과학적 답을 알려주고 있는 것입니다. 우주에는 생명체가 존재합니다. 바로 우주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우주의 생명체이기 때문입니다. 광활한 우주의 수많은 별들 중에는 태양과 유사한 별들이 무수히 존재하며, 그 별들 주변에 지구와 같은 조건의 행성들이 또한 많이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 행성들에 우리와 같은 또는 유사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은 확실해 보입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는 우주 속의 또 다른 생명체 존재에 대한 어떠한 증거도 알고 있지 못합니다. 우주 속의 생명체는 우리 뿐 일까요? 이 질문은 우주의 기원에 대한 궁극적 질문과 더불어 우리가 우주에서 알고 싶어 하는 가장 근원적인 질문일 수밖에 없습니다. 이 강좌를 통해서, 우주의 기원과 시간의 역사, 우주의 미래, 우주 속에 존재하는 생명체로서의 우리, 그리고 광활한 우주 속에서의 또 다른 생명체 존재의 가능성을 주제로 하여 현대 천문학이 주고 있는 우주의 과학적 진리를 탐구하려 합니다. 그리고, 우주의 역사 속에서 현재 우리가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의 본질적인 의미를 찾아봅니다. 연세대학교 이과대학 천문우주학과 손영종 교수 관련 문의: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ictl@yonsei.ac.kr)

Students

180

K-MOOC

우주의 이해

Professor

KIM, HANSUNG

Learning Period

02-10-2023 ~ 05-31-2024

Course Introduction

수소 사회로 가는 길?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창의력을 가진 인재가 준비된 인재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창의력이 있어야 새 시대를 선도해 나갈 수 있는 인재가 될 수 있는걸까요? 가장 중요한 것은 각각의 이론과 개념들을 하나로 합할 수 있는 창의력을 갖는 것인데요. 가장 대표적인 예로 수소연료전지차가 있습니다. 수소로 차를 굴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창의력, 수소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화학식을 실생활로 끌어 들여올 수 있는 융통성이 새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인재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새 시대를 이끌어 갈 수소연료전지차에 대해 더 깊게 알고 싶다면? 연세대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인 Learnus(런어스)에서 국내 최고의 지식과 경험을 지닌 연세대학교 교수가 최첨단 지식과 모범 사례를 전달합니다.     본 강좌는 <준비된 인재에게 기회가 열린다: 창의융복합 인재 양성 과정> 풀강좌의 주제별 강좌입니다.*주제별 강좌는 수료증이 발급되지 않습니다. 수료증 발급을 희망하시는 경우 풀강좌를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풀강좌: https://www.learnus.org/local/ubonline/view.php?id=235236&group=1   문의 : 연세대학교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02-2123-4201~4205)           연세대학교 LearnUs 추진팀 (learnus_office@yonsei.ac.kr)

Students

1

Paid
수소 사회로 가는 길: 수소연료전지차 (2023)

Professional course

수소 사회로 가는 길: 수소연료전지차 (2023)

Professor

Kim Hak Chol

Learning Period

02-09-2023 ~ 02-29-2024

Course Introduction

우리의 감정을 흔드는 선동   목적을 위해 발달한 선동 선동이란 어떤 한 개인이나 단체를 부추겨서 선동하는 사람이 얻고자 하는 것을 얻도록 하는 것입니다. 국립국어원은 '남을 부추겨 어떤 일이나 행동에 나서도록 함'으로 정의했습니다. 선동하는 사람들은 타인이 자신의 의도대로 행동할 수 있도록 많은 연구와 노력을 합니다. 선동은 인간의 역사와 함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전에 비해 속도, 범위, 크기의 면에서 많은 상황이 달라진 현대 사회에서 선동은 매우 빠른 속도로, 넓은 범위에서 퍼져 나갑니다. 그리고 한번 퍼지게 되면 반박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선동의 대표적인 예시인 나치의 요제프 괴벨스는 "선동은 문장 한 줄로도 가능하지만, 그것을 반박하려면 수십 장의 문서와 증거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것을 반박하려고 할 때면 사람들은 이미 선동당해 있다."라는 말을 남겼습니다. 선동의 특성을 아주 잘 나타내는 말이죠. 선동을 하는 사람은 경제적인 이득이나 흥미를 위해, 혹은 주목을 받고자 타인을 선동합니다. 그러나 선동을 하는 사람보다 더 위험한 사람은, 바로 그것을 믿는 사람입니다. 움베르토 에코는 소설 「장미의 이름」에서 "너는 예언자들과 진리를 위해 죽을 각오가 되어있는 사람들을 두려워 하라"라고 서술했습니다. 이어서 "이 사람들은 원래 수많은 사람을 자기네와 함께, 흔히는 자기네보다 먼저, 때로는 자기네 대신 죽게 만들기 때문"이라고 했죠. 선동을 믿는 사람의 위험성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그렇다면 선동은 어떻게 하는 것일까요? 선동에 관련된 감정은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자신의 뜻이 꺾이거나, 권리를 침해받을 때 일어나는 분노, 공동체의 질서를 어기고 공동체의 이익만 누리려 하는 사람들에게 일어나는 경멸, 더러운 것이 내 입에 닿는 느낌, 그러한 상상, 혹은 그러한 일이 일어났을 때 발생하는 혐오입니다. 이 세 가지 감정은 인간에게 반드시 필요하고 중요한 감정이며, 그만큼 사람을 움직이기에 아주 강력한 힘을 발휘합니다. 그리고 이 감정을 듣는 사람들에게 불러일으키고, 마음 곳곳에 심어놓는 것이 선동의 방법입니다.   ​사람의 인지 편향을 이용해 듣는 이로 하여금 움직이게 만드는 선동, 이러한 선동에 휩쓸리지 않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런어스(LearnUs)와 함께 알아보세요!     본 강좌는 풀강좌 "과학기술 시대와 팬데믹, 그리고 우리 시대의 시민교양"의 주제별 강좌입니다.풀강좌 "과학기술 시대와 팬데믹, 그리고 우리 시대의 시민교양"의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주제별 강좌는 수료증이 발급되지 않습니다. 수료증 발급을 희망하시는 경우 풀강좌를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풀강좌: https://www.learnus.org/local/ubonline/view.php?id=235235&group=1   문의 : 연세대학교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02-2123-4201~4205) 연세대학교 LearnUs 추진팀 (learnus_office@yonsei.ac.kr)

Students

46

Professional course

선동의 논리 구조와 감정

Professor

Lee Bo Kyoung

Learning Period

02-09-2023 ~ 02-29-2024

Course Introduction

우리 몸의 필수 영양제?   여러분은 영양제를 많이 복용하시는 편이신가요? 최근 건강 프로그램에서 소개하는 다양한 영양제, 어디까지 알고 계신가요? 다양한 작은 알약, 분말, 액상형 영양제가 내 몸 안에서 어떻게 작용을 하길래 지방 대사를 조절하고 피부 탄력을 높이고 뼈를 재생할 수 있는 걸까요? ​여기에는 바로 과학이 숨어 있기 때문이랍니다. 본 강좌에서는 각종 영양제를 비롯한 약의 화학적 작동 원리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줄 수 있는 내용에 대해 학습니다. 뿐만 아니라, 항생제 페니실린의 개발 스토리부터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의 원리까지 다루고 있으니 지금 바로 학습해 보세요! ​   본 강좌는 풀강좌 "과학기술 시대와 팬데믹, 그리고 우리 시대의 시민교양"의 주제별 강좌입니다.풀강좌 "과학기술 시대와 팬데믹, 그리고 우리 시대의 시민교양"의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주제별 강좌는 수료증이 발급되지 않습니다. 수료증 발급을 희망하시는 경우 풀강좌를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풀강좌: https://www.learnus.org/local/ubonline/view.php?id=235235&group=1   문의 : 연세대학교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02-2123-4201~4205) 연세대학교 LearnUs 추진팀 (learnus_office@yonsei.ac.kr)

Students

35

Professional course

분자의 예술 : 약의 설계에서 사용까지

Professor

Soojeong Kim

Learning Period

02-09-2023 ~ 02-29-2024

Course Introduction

수학으로 읽는 바이러스의 구조   수학적 구조를 품은 바이러스 최초의 바이러스는 1892년 러시아의 미생물학자 드미트리 이바노프스키에 의해 발견된 담배모자이크 바이러스입니다. 그로부터 6년 후, 1898년 네덜란드의 미생물학자 마르티누스 베이에링크가 라틴어로 독을 의미하는 비루스를 따서 바이러스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세간을 떠들썩하게 한 전염병 중 대부분이 바이러스에 의한 것인데요, 2002년 사스(SARS), 2009년 신종플루(Swine flu), 2014년 에볼라(Ebola), 2015년 메르스(Mers), 그리고 2019년의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입니다. 이러한 바이러스와 싸워서 이기려면 치료제와 백신을 개발하는 것이 최고의 방법인데요,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바이러스의 구조를 이해해야 합니다.     바이러스는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DNA나 RNA인 핵산, 그리고 핵산을 둘러싼 단백질 덩어리인 캡시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현재까지 밝혀진 바이러스의 종류는 크게 나선형, 정이십면체형, 복합형, 외막형의 네 가지로 구분됩니다. 직선의 핵산을 캡시드가 나선으로 감싸고 있는 나선형, 둥글게 뭉쳐진 핵산을 구형 캡시드가 감싼 정이십면체형, 머리는 정이십면체형이고 몸통은 나선형인 복합형, 그리고 나선형, 정이십면체형, 복합형을 외막이 감싸고 있는 외막형입니다. 바이러스에는 정이십면체의 모양이 있는데요, 정이십면체는 정다면체에 속하는 도형입니다. 정다면체란 모든 면이 똑같은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꼭짓점에서 만나는 면의 개수가 같은 볼록한 입체도형입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정다면체는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그리고 정이십면체인데요. 구형 캡시드를 정이십면체라고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정이십면체의 구형 캡시드를 비롯해서, 바이러스에는 펜로즈타일링, 대수학의 군론, 대칭과 같은 다양한 수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바이러스를 읽어내는 수학, 흥미롭지 않으신가요?   오랜 시간 우리를 괴롭혀 온 바이러스와 바이러스의 수학적 구조! 런어스(LearnUs)에서 알아보세요!         본 강좌는 풀강좌 "과학기술 시대와 팬데믹, 그리고 우리 시대의 시민교양"의 주제별 강좌입니다.풀강좌 "과학기술 시대와 팬데믹, 그리고 우리 시대의 시민교양"의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주제별 강좌는 수료증이 발급되지 않습니다. 수료증 발급을 희망하시는 경우 풀강좌를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풀강좌: https://www.learnus.org/local/ubonline/view.php?id=235235&group=1   문의 : 연세대학교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02-2123-4201~4205) 연세대학교 LearnUs 추진팀 (learnus_office@yonsei.ac.kr)  

Students

98

Professional course

바이러스의 구조를 밝히는 수학

Professor

강형엽

Learning Period

02-10-2023 ~ 05-31-2024

Course Introduction

AR과 VR로 만나는 메타버스!   4차 산업혁명이 대두되며 새롭게 떠오른 핫 키워드, 메타버스! 메타버스란 현실 세계와 같이 사회활동, 문화활동 등이 이루어지는 3차원 가상세계를 뜻하는데요, 닐 스티븐슨의 1992년작 사이버펑크 소설 <스노 크래시>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개념입니다.이 소설은 세컨드 라이프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는데요, 필립 로즈데일이 이 소설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했다고 합니다. 메타버스는 ‘가상’, ‘초월’ 등을 뜻하는 영어 단어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입니다. 가상현실보다 한 단계 더 진화한 개념으로, 게임이나 가상현실을 체험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실제 현실처럼 여러 가지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메타버스에서 할 수 있는 활동들은 무엇이 있을까요? 개인적인 만남은 물론, 사회적인 활동, 경제 활동, 문화 활동까지 가능합니다! 현재 많은 문화 예술 관련 기업들이 메타버스 온라인 전시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메타버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화폐 등을 이용해 구매를 하거나 각종 콘퍼런스, 회의를 진행할 수도 있겠죠. 이렇게 많은 기업과 대중을 매료시키는 메타버스, 그리고 메타버스를 더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AR과 VR의 진짜 매력은 무엇일까요? 우리의 세계를 확장시키는 메타버스와 AR, VR! 런어스(LearnUs)와 함께 알아보세요!   본 강좌는 <준비된 인재에게 기회가 열린다: 창의융복합 인재 양성 과정> 풀강좌의 주제별 강좌입니다.*주제별 강좌는 수료증이 발급되지 않습니다. 수료증 발급을 희망하시는 경우 풀강좌를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풀강좌: https://www.learnus.org/local/ubonline/view.php?id=235236&group=1   문의 : 연세대학교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02-2123-4201~4205)           연세대학교 LearnUs 추진팀 (learnus_office@yonsei.ac.kr)

Students

-

Paid
메타버스와 AR,VR (2023)

Professional course

메타버스와 AR,VR (2023)

Professor

KIM HYUN JAE

Learning Period

02-10-2023 ~ 05-31-2024

Course Introduction

디지털 전환의 핵심! 반도체·디스플레이 기술   스페셜리스트보다 제너럴리스트, 산업들의 종합적 이해도가 높은 인재의 필요성 우리의 산업은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특히 코로나19 이후 큰 변화를 겪었습니다. 그 중 디지털 산업의 성장 속도가 빨라지면서 새로운 세상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시대와 산업이 변화함에 따라 이에 맞는 인재를 찾는 방법 또한 변화하게 되었습니다. 과거에는 아날로그 산업과 경영이 주를 이루었지만 근대에 들어서는 산업 간 경계가 확실히 구분되는 건 물론 각 산업 군들이 결합 및 복합 문화를 이루면서 다양한 기술 시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디지털이 주를 이루며 4차 산업혁명이 성장하면서 각 산업 군들의 영향은 커지고 있습니다. 이제는 하나의 도구만을 활용해 생산만을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아닌 기술과 아이디어의 결합 등과 같은 복합문화를 선도하는 산업 간의 연계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형성해야만 성공이 가능해 졌습니다.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술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의 내용은 상상하기 어렵고 쉽게 접해본 적이 없을뿐더러 말로만 들어서는 정확히 어떤 내용인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위와 같이 쉽게 상상하기 어려운 분야이지만, 해당 분야의 변화를 빠르게 알아채고 대비하기 위해서는 각 산업에 대해 전반적인 이해가 높아야 하며, 동시에 넓은 지식을 가진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답은 멀리 있지 않습니다. 연세대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인 Learnus(런어스)에서 국내 최고의 지식과 경험을 지닌 연세대학교 교수진이 연사로 참여해서 최첨단 지식과 모범 사례를 전달합니다.     본 강좌는 <준비된 인재에게 기회가 열린다: 창의융복합 인재 양성 과정> 풀강좌의 주제별 강좌입니다. *주제별 강좌는 수료증이 발급되지 않습니다. 수료증 발급을 희망하시는 경우 풀강좌를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풀강좌: https://www.learnus.org/local/ubonline/view.php?id=235236&group=1   문의 : 연세대학교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02-2123-4201~4205)           연세대학교 LearnUs 추진팀 (learnus_office@yonsei.ac.kr)

Students

1

Paid
디지털 전환의 핵심: 반도체·디스플레이 기술 (2023)

Professional course

디지털 전환의 핵심: 반도체·디스플레이 기술 (2023)

Professor

KANG MYUNG KOO

Learning Period

02-10-2023 ~ 05-31-2024

Course Introduction

준비된 사람에게 기회가 온다!   스페셜리스트보다 제너럴리스트, 산업들의 종합적 이해도가 높은 인재의 필요성 우리의 산업은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특히 코로나19 이후 큰 변화를 겪었습니다. 그 중 디지털 산업의 성장 속도가 빨라지면서 새로운 세상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시대와 산업이 변화함에 따라 이에 맞는 인재를 찾는 방법 또한 변화하게 되었습니다. 과거에는 아날로그 산업과 경영이 주를 이루었지만 근대에 들어서는 산업 간 경계가 확실히 구분되는 건 물론 각 산업 군들이 결합 및 복합 문화를 이루면서 다양한 기술 시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디지털이 주를 이루며 4차 산업혁명이 성장하면서 각 산업 군들의 영향은 커지고 있습니다. 이제는 하나의 도구만을 활용해 생산만을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아닌 기술과 아이디어의 결합 등과 같은 복합문화를 선도하는 산업 간의 연계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형성해야만 성공이 가능해 졌습니다.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술의 내용은 상상하기 어렵고 쉽게 접해본 적이 없을뿐더러 말로만 들어서는 정확히 어떤 내용인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위와 같이 쉽게 상상하기 어려운 분야이지만, 해당 분야의 변화를 빠르게 알아채고 대비하기 위해서는 각 산업에 대해 전반적인 이해가 높아야 하며, 동시에 넓은 지식을 가진 것도 중요합니다. 본 강의에서는 세계를 선도하는 기업인 Amazon Web Service의 강명구 파트너가 연사로 참여해서 최첨단 지식과 모범 사례를 전달합니다.     본 강좌는 <준비된 인재에게 기회가 열린다: 창의융복합 인재 양성 과정> 풀강좌의 주제별 강좌입니다. *주제별 강좌는 수료증이 발급되지 않습니다. 수료증 발급을 희망하시는 경우 풀강좌를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풀강좌: https://www.learnus.org/local/ubonline/view.php?id=235236&group=1   문의 : 연세대학교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02-2123-4201~4205)           연세대학교 LearnUs 추진팀 (learnus_office@yonsei.ac.kr)

Students

1

Paid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핵심 기술의 이해 (2023)

Professional course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핵심 기술의 이해 (2023)

Professor

KIm Eungbin

Learning Period

02-09-2023 ~ 02-29-2024

Course Introduction

우리는 어떻게 '공생'해야 할까?   '공생'이란 무엇일까요? 말 그대로 같이 산다는 의미인데요, 그 범위 안에서 협동, 기생, 포식, 경쟁을 하며 사는 것이 공생입니다. 공생이라 하면 돕는 의미만을 생각하기 쉽지만, 공생과 경쟁은 반대되는 개념이 아니라 포함하는 관계이죠. 그렇다면 감염병 시대에 공생하는 삶이란 어떤 것일까요? 또 '나'와 '타인'과의 공생 관계를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본 강좌에서는 생물학적인 관점에서 '면역'의 작동에 의해 미생물과 공생하는 우리의 몸과 관련된 이야기를 들어볼 수도 있고, 철학적인 관점에서의 인간관계에 빗댄 '면역'도 소개해 드립니다.     본 강좌는 풀강좌 "과학기술 시대와 팬데믹, 그리고 우리 시대의 시민교양"의 주제별 강좌입니다.풀강좌 "과학기술 시대와 팬데믹, 그리고 우리 시대의 시민교양"의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주제별 강좌는 수료증이 발급되지 않습니다. 수료증 발급을 희망하시는 경우 풀강좌를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풀강좌: https://www.learnus.org/local/ubonline/view.php?id=235235&group=1   문의 : 연세대학교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02-2123-4201~4205) 연세대학교 LearnUs 추진팀 (learnus_office@yonsei.ac.kr)

Students

16

Professional course

공생, 감염병 시대의 슬기

Professor

Jeong, Kap-Young

Learning Period

01-02-2022 ~ 02-29-2024

Course Introduction

우리 모두는 경제라는 울타리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학은 어려운 학문이고 보통 사람들이 접근하기 힘든 분야라고 인식되어 공부하기를 어려워하고 있습니다.경제는 왜 항상 어려울까요? 경제학은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접근 방법들을 활용하고 있을까요?모든 경제 문제는 일단 '부족하다'는 인식에서부터 시작됩니다.우리는 항상 무언가를 실행할 시간도 부족하고, 투자할 자원도 부족하고, 사용할 용돈도 부족하다고 느낍니다. 하지만 이 세상에 모든 것을 만족할만큼 풍족하게 가지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요?이 세상의 모든 경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경제학적 접근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서부터 시작됩니다.이 강좌의 학습 목표는 경제학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이러한 원리들이 우리 주변에 발생하고 있는 수많은 경제적 사건들을 설명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입니다.Part I.이 13강에 걸쳐 경제학이라는 학문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을 비롯, 시장에서 일어나는 소비자와 기업의 행동에 중점을 둔 미시경제학에 집중했다면, Part II.에서는 공공재와 외부효과를 통해 시장의 실패와 공공경제학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데에서 출발하여 국민소득의 측정과 국제무역, 그리고 통화와 재정 정책의 효과 같이 거시경제학에서 다루는 내용을 중점으로 주변에서 발견하기 쉬운 일상적인 사례를 인용하여 14강부터 설명합니다.하루 일과를 어떻게 보람있게 보낼지 일정을 결정할 때, 대학 진학을 결정할 때, 첫사랑을 시작할 때에도 이 모든 순간에 경제학의 원리가 곳곳에 살아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좀 더 나아가 '경제학 첫걸음'에서는 보다 넓게 시장의 흐름을 이해하고, 효율적인 자원의 배분방식을 찾아보고, 국민 경제의 미래를 위한 선택을 모색해 보려합니다. 경제학에 대한 이해가 높아질수록 개인도 나라도 더 풍요로워질 수 있다는 사실을 함께 경험해보시기 바랍니다.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경제학과 정갑영 교수 문의: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ictl@yonsei.ac.kr)   

Students

236

K-MOOC

경제학 첫걸음 Part 2: 거시경제학

Professor

Jeong, Kap-Young

Learning Period

01-02-2022 ~ 02-29-2024

Course Introduction

우리 모두는 경제라는 울타리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학은 어려운 학문이고 보통 사람들이 접근하기 힘든 분야라고 인식되어 공부하기를 어려워하고 있습니다.경제는 왜 항상 어려울까요? 경제학은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접근 방법들을 활용하고 있을까요?모든 경제 문제는 일단 '부족하다'는 인식에서부터 시작됩니다.우리는 항상 무언가를 실행할 시간도 부족하고, 투자할 자원도 부족하고, 사용할 용돈도 부족하다고 느낍니다. 하지만 이 세상에 모든 것을 만족할만큼 풍족하게 가지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요?이 세상의 모든 경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경제학적 접근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서부터 시작됩니다.이 강좌의 학습 목표는 경제학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이러한 원리들이 우리 주변에 발생하고 있는 수많은 경제적 사건들을 설명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입니다.Part I.에서는 경제학에 대한 개괄적 설명에서부터 시장의 수요와 공급의 문제, 그리고 독과점 문제에 이르기까지 미시경제학에서 다루는 내용을 중점적으로 주변에서 발견하기 쉬운 일상적인 사례를 인용하며 설명합니다.하루 일과를 어떻게 보람있게 보낼지 일정을 결정할 때, 대학 진학을 결정할 때, 첫사랑을 시작할 때에도 이 모든 순간에 경제학의 원리가 곳곳에 살아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좀 더 나아가 '경제학 첫걸음'에서는 보다 넓게 시장의 흐름을 이해하고, 효율적인 자원의 배분방식을 찾아보고, 국민 경제의 미래를 위한 선택을 모색해 보려합니다. 경제학에 대한 이해가 높아질수록 개인도 나라도 더 풍요로워질 수 있다는 사실을 함께 경험해보시기 바랍니다.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경제학과 정갑영 교수 관련 문의: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ictl@yonsei.ac.kr)

Students

478

K-MOOC

경제학 첫걸음 Part 1: 미시경제학

Professor

Kim Chulyoung

Learning Period

02-10-2023 ~ 05-31-2024

Course Introduction

4차 산업혁명 속, 확실히 준비된 인재가 되고 싶다면?   스페셜리스트보다 제너럴리스트 산업들의 종합적 이해도가 높은 인재의 필요성! 각 분야별 산업 간 경계가 허물어진 지금! 과거에는 아날로그 산업과 경영이 주를 이루었지만 근대에 들어서는 산업 간 경계가 확실히 구분되는 건 물론 각 산업 군들이 결합 및 복합 문화를 이루면서 다양한 기술 시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디지털이 주를 이루며 4차 산업혁명이 성장하면서 각 산업 군들의 영향은 커지고 있습니다. 이제는 하나의 도구만을 활용해 생산만을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아닌 기술과 아이디어의 결합 등과 같은 복합문화를 선도하는 산업 간의 연계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형성해야만 성공이 가능해졌습니다. 미래 핵심 기술이 '롱런'의 대세가 되었다면 이제 인재도 전반적 이해와 나아가 기술경영, 지적재산권 등 필요한 소양을 길러야 할 때가 되었습니다. 제너럴리스트로써 놀라운 성장 커리어를 쌓고 싶은 분들이라면 지금 주목해 주세요!       본 강좌는 <준비된 인재에게 기회가 열린다: 창의융복합 인재 양성 과정> 풀강좌의 주제별 강좌입니다.*주제별 강좌는 수료증이 발급되지 않습니다. 수료증 발급을 희망하시는 경우 풀강좌를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풀강좌: https://www.learnus.org/local/ubonline/view.php?id=235236&group=1   문의 : 연세대학교 교무처 교수학습혁신센터 (02-2123-4201~4205)           연세대학교 LearnUs 추진팀 (learnus_office@yonsei.ac.kr)

Students

-

Paid
경제모형 이해하기,경제정책의 득실 (2023)

Professional course

경제모형 이해하기,경제정책의 득실 (2023)
Load More